[계획방향]
- 결과 목표: 공동의 목표 인지 및 달성을 위한 철학
- 행동 목표: 결과 목표를 위해 스스로가 취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행동 철학
- 본인 미래 영향: 결과 목표와 행동 목표가 나에게 어떤의미가 될 것이며 왜 좋은지
- 주간 계획: 차주에 어떤 산출물이 발생되길 원하며 이를 위해 금주에 할일 철학
- 일별 계획: 아침마다 팀원 standup 후 어제진행보고와 오늘계획을 각자브리핑
- 중간 점검: 2주 간격으로 진행 및 무기명으로 힘들었던 점, 좋았던 점, 반영을 원하는 점 작성
[멘토방향]
- 물질적스트레스말고 사람간스트레스에 대해서, 물질적이나 교통사고만큼의 위로를 해주는건 상대가 크게배려느낀다 보통은 반대다 입장바꿔보라그러고 술먹고풀라고 넘기는데 오히려 더서운할 수 있음
- 상대의시간도 소중하다. 상사가 대접받고 싶은것때문에 상대방들이 본질이아닌 쓸데없는것들에 시간을 쓰고 있음을 상사가 알고(인지시켜야) 상대시간에 대한 배려 발생할 것
- 업무가아닌 가족적이고 비업무적 얘기가 친근감생기게함
- 한번에 여러사람과 대화하려하면 권위주의가 생길 수 있으므로 1대1이 여전히 중요하고, 주기적으로 발생시켜야 권위적 언어를 안쓰게됨
- 문제가 생길때 사람부터 찾고 쪼는게 아니라 모두가 함께 원인을찾고 사람의 대응과 문화 방식을 폭넓게 같이 얘기하는방식이 최고 현실적 판단
- 공포감느끼는 미팅문화 예시
직원은 10일전 약속해야 하고 상사 만나러 갔을 때 정확한 약속시간 전 직원이 먼저 앉아 대기해야 하며 마침 시간이 되면 상사가 방으로오고 상사는 메모 하나 하지 않고 끝낸 뒤 직원이 미팅내용정리를 해야 하며 직원이 다음 단계 등과 같은 질문을 드려봤자 상사는 검토 후 다음에 연락하겠다고 돌려보냄
- 편한 미팅문화는 직원이 상사를 카톡초대해서 바로 시간잡고 만난 후 상사가 스스로 정리메모 후 다음스텝 직원에게 가이드 후 빠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