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임대소득 세금부과 정책
> 기존: 주택임대소득 2000만원 이하는 비과세
> 변경: 비과세 폐지하여 주택임대소득에 대해 과세
(예외사항은: 부부합산 1가구 1주택이거나, 9억원 또는 전용면적 40제곱미터 이하는 "세법"상("주택법"아님) 주택으로 보지 않아 1주택이 될 경우)
> 결론: 전세가 아닌 이상 월세와 월세 보증금에 대해서 임대소득 과세
> 참고자료:
1) 정책발표: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250912&memberNo=25584196&vType=VERTICAL
연 2천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에도 건보료 부과 ···오는 11월부터 시행
[BY 청년일보] 전·월세 신고 의무화 추진[사진=연합뉴스] 【 청년일보 】 2주택 이상 소유자 등이 지난해 ...
m.post.naver.com
2) https://blog.naver.com/guleong2/221766430037
주택임대소득 과세기준 비과세 VS 과세제외
국세청 보도자료 (2020.1.7. ) 2쪽 스샷입니다. 주택임대소득 과세기준을 표로 보기쉽게 정리 되어있습니다...
blog.naver.com
3) https://blog.naver.com/guleong2/221771743650
주택임대소득 과세기준 비과세 VS 과세제외 2
#1가구2주택 #전세#주택임대소득부부합산 1가구 2주택이면서 월세소득은 없이 전세를 준 경우, 보증금만 ...
blog.naver.com
4) 지분율과 부과명의: https://blog.naver.com/didqorgud/221759529702
주택임대소득 비과세 요건
https://youtu.be/FpVR8Z9pC1Q☆. 주택임대소득 비과세 판단시 1세대는 부부 합산으로 하며 자녀나 ...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