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새로운 생각을 하기 좋은 시간

cheonbi 2019. 11. 10. 00:02

누가,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고, 표현하며, 이해하고, 전달할 것인가

인문학(人文 humanities)‘사람’에 관한 학문

인문: 사람·삶의 무늬,복수형으로서 인간에 관한 것들

---무늬는 다양성과 공존을 뜻한다
---관점의 다양성, 깊이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인문정신(humanities): ‘사람다움’에 대한 가치 지향‘사람다움’은 ‘사람’에서 나왔으나,
사람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다.


문화의 이상은 사람다움을 향한 도정“인간은 완성되어야 할 무엇이며,건너가는 다리”(니체)문화의 수준, 역사의 단계, 사회의 성격에 따라‘사람다움’에 대한 관점과 생각은 변하며 다르다

---인문정신은 시대정신이다


미국국립인문재단(NEH)“민주주의는 시민의 지혜를 필요로 한다”

시민의 지혜=인문정신
민주주의적 삶에 기여하는 것이 공공선이며, 인문정신이다


말 글, 그리고 마음인문정신이 깃든 말, 글, 마음(생각)을 통해
정답을 넘어선 질문의 발명,필요(needs)를 넘어선 가치의 발견,가치와 분리된 현실의 통합,현재를 넘어서 미래를 디자인하기 위한
영감의 시간
현실의 필요와 미래의 가치를 잇는
인문정신이 깃든 디자인
인문정신이 깃든 말, 글, 마음(생각)은관점의 360 도를 포함하고 있다

<공놀이> 이근화

아이들 공놀이를 하고 거짓말처럼 공이 떠오르고 엄마는 멀리 그늘에서 고구마의 어린순을
다듬고 손끝에 핏물 곱게 들고 나팔꽃 지지배배 몰래 울고
지나갈 비가 지나고 거짓말같이 옷이 마르고
공원에서 시작되는 연인들 끝나는 연인들 쌍을 지어 날아오르고 못 본 척 즐겁게 춤을
추다가 그대로 멈출 수 있는 아이들 멈추지 않고 자라고 또 자라서, 내 오랜 엄마는 어둡고
펜지는 차갑게 웃고 지고공놀이에는 무엇이 필요한가 왜 필요한가


<시제삼호> 이상 오감도.

싸움하는사람은즉싸움하지아니하던사람이고또싸움하는사람은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이었기도하니까싸움하는사람이싸움하는구경을하고싶거든싸움하지아니하던사람이싸움하는것을구경하든지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이싸움하는구경을하든지싸움하지아니하던사람이나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이싸움하지아니하는것을구경하든지하였으면그만이다

 

타자의 다양성을 발견하는 시각은
어떻게 가능한가?


주체성을 허무는 시각
---주체성을 넓히는 시각, 보편성에 이르는 시각


배추에 ‘그냥’ 소금뿌리기
시적인 감수성을 키우는 일<밤이 선생이다> 황현산

 

- 2018.09.06 여백서원

 함돈균 -

 

[Summary]

인문학은 소유의개념

정신과 현실의 반영인 인문정신

논리프레임을 흐트러드리는것 새프레임은 아님

숲에서의 가장멋진경험은 숲에서 길을 잃는것이다

 

알아먹을수없는 문학은 시험으로 낼수없다

알아먹으려 문학을 쓴게아니다

 

사람의 다양성과의 공존의삶을 이해하는게 인문정신

사람다움에 대한가치지향이 인문정신

사람에서 나왔으나 사람의로부터 가장 멀리있다

태어났다고 사람답게되지않는다

사람다움으로의 가치인지필요

인간은 완성되야할 무엇이며 지나가는다리

사람다움은 시간에따라 다르며 시대정신이다

 

민주주의는 시민의지혜를 필요로한다

미국국립인문재단

시민의지혜가 인문정신

 

정답을 넘어선 질문의발견

필요를 넘어선 가치의발견

가치와 분리된 현실의통합

현재를 넘어서 미래를디자인

필요만의로 삶이되진않고 가치가 삶을만든다

 

십년의 시간을 살아도 한줌의 시간만 남는건

삶으기 가치와 보편성을 고려하지 않은채

그저 눈앞의 시간조차 보려하지않는 게으름 때문

 

천지개벽은 아침에 닭이 운다고 열리는게 아니다

자연의 섭리가 아닌 인간의 참여로 완성될 의무

 

즉각적 쓸모를 넘어선 시각의 가치 지향

불가능한것의 가능성싀 시작

수술대 위의 재봉틀과 우산

공놀이에는 무엇이 필요하고 왜 필요한가

 

이상 오감도 시제삼호

 

괜히 큰사람 미워하면 젤나쁨

이게뭐지? 따라가며 배우는사람